본문 바로가기
기획과 UX/책과 논문

[UX] UX for Lean Startups (Laura Klein) Ch.2 The Right Sort of Research at the Right Time

by 컨숨 2022. 9. 20.

 

학습 목표

- 프로덕트 라이프사이클 당 가장 적합한 리서치 방법론 알기

- 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는 특이한 리서치 방법론을 위한 팁

- 사용자와 이야기할 때 주의사항 알기

 

사용자 리서치의 중요성

시간과 돈을 아낄 수 있다

 

Competitor Testing

- 경쟁업체의 프로덕트를 사용해봐라. 유사한 업체가 없다면? 타겟 사용자가 비슷한 프로덕트를 사용해봐라.

- 경쟁 프로덕트의 약점을 찾아내라

- 경쟁 프로덕트 사용자 4~5명을 만나서 사용하는 모습을 관찰하고, 인터뷰하라

(좋아하는 점, 싫어하는 점, 혼란스러운 점, 짜증나는 점, 부족한 점, 사용법은 어떻게 익혔는지, 서비스를 알게 된 계기, 다른 유사 서비스 사용 경험, 왜 이 서비스를 선택했는지 등)

 

Five-Seconds Tests

- 랜딩페이지를 본 뒤, 사용자는 랜딩페이지 속 프로덕트가...

  • 무엇을 하는 프로덕트라고 생각하는가?
  • 어떤 사람을 위한 프로덕트라고 생각하는가?
  • 프로덕트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는가?

 

- 위 요소들이 아주 빠르게 (5초만에) 사용자에게 전달 되어야 한다

- 여러 버전의 랜딩 페이지를 가지고 랜덤한 타인을 인터뷰해보자 (위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)

 

Clickable Prototype Testing

- 공수가 많이 드는 방법

- 잘못 만들면 상당히 혼란스럽고 짜증날 것 같은 인터랙션을 설계할 때 유용한 테스트 방식

- 본격적인 개발이 시작되면 더 돌이키기 어려워진다!

- 실전에 적용

1) HTML, JS, Axure과 같은 툴을 사용해 인터랙티브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자 (PPT 절대비추)

2) 누구를 인터뷰하고 어떤 task를 시킬지 정하자 (참고 도서 : Observing the User Experience)

기존 사용자도 가능

task 예시 : 회원가입, 결제, 검색 및 브라우징, 공유 (사진 촬영, 댓글 등), 파일 업로드, 파일 편집, 물리적 버튼, 셋업 등

3) 3~5명을 대상으로 테스트 진행 (프로토타입 여러 개면 비교도 가능)

4) 피드백 보완하고 다시 반복

 

Guerilla User Tests

- 신규 사용자를 대상으로 문제 파악하는 방법임

- 인터랙티브 프로토타입, 실제 제품 등을 가지고 랜덤한 타인에게 task를 부탁

- 도와주지 말고 관찰만

- 어디서 막히는지 파악

- 어떤 질문하는지 듣기

- task가 어땠는지 피드백 듣기

- 4~5명을 대상으로 반복

- 문제 해결 후 반복

 

 

User Research 시 주의할 점

- 닥치고 듣기

- 서비스 설명 하지 말기. 대신 사용자가 직접 탐색하게 냅두기.

- Open-Ended 질문 하기 (특정 답변 유도 금물)

- Follow Up 질문 하기 (구체적 이유 나오도록)

- 사용자가 실패하도록 놔두기


사족

Competitor Testing은 처음 보는데 유용할 것 같다.

랜딩페이지 5초 테스팅도 꿀팁이네... 5초만에 저걸 다 파악시켜야 한다니

취준준은 이미 만들어 둔 서비스가 있으니 유저 테스팅을 정말 해봐야겠단 생각이 드는구만...

역시 중요한 건 반복이다~!!